그는 군중에게 영합하지 않았으며
죽음으로써 지행일치(知行一致)라는
자신의 신념을 지켰다. 신고전주의자
다비드의 그림은
소크라테스의 의연함을 회화적으로
빼어나게 형상화했다.
나훈아 씨는 노래에 삶을 바친 장인(匠人)이자
자유인으로 보인다.
권력이나 돈 앞에서도 당당하다.
그만큼 성공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세상적으로 성공했다고 해서 다
그같이 의연한 건 아니다.
정반대의 경우가 더 많다.
나훈아가 소크라테스를 '형'이라고 부른게
난 아주 맘에 들었다.
소크라테스도 크지 않은 키에 평범한
용모(추남이라고 평한 기록도 있다)이지만
나훈아 같이 당당한 정신에 단단한 몸과
체력을 과시했다.
어용 지식인임을 자부하는 유시민 씨와는
달리 소크라테스는 권력에 대한
아부를 경멸했다. 소크라테스는 오직
진리추구에만 관심이 있었다.
바로 이게 권력획득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웅변술(궤변)을 돈을 받고 가르쳤던
소피스트들과, 철학자 소크라테스를
차별화하는
결정적 지점이다.
소크라테스는 당대에 횡행한 궤변과 싸워
정론(正論)을 세우는 데 일생을 바친
사람이다.
살아있는 권력을 결사옹위하기 위해 궤변을
농하는 어용 지식인이
스스로를 슬쩍 소크라테스에 비유하는
모습이라니.
유시민 씨는 '김정은 계몽군주'설을
옹호하면서 자기가 공부를 너무 많이 한
죄라며 동료 시민들의 무식과 무지를
개탄한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모든 아테네
시민앞에서 자신의 무지를 고백하는 것으로
대화를 시작한다.
우리는 장안의 지가를 올린 자칭
지식인보다, 광대를 자처하는 한 예인(藝人)이
소크라테스에 훨씬 가깝다는 사실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