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가리킬 때 우리는 흔히 “쑥맥”이라고 한다. 이 숙맥이 어째서 바보 같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을까? 숙맥의 본딧말은 숙맥불변(菽麥不辨)이었다. 숙맥불변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의미가 된다. 봐도 금방 알 수 있는데 그 쉬운 것도 분간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바보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이 “숙맥불변”을 다 쓰기가 번거로워 “숙맥”으로 줄이게 되었고, 이 말을 남을 놀리는 말로 사용하다 보니 숙맥의 “숙”을 된소리로 발음하게 되어 “쑥맥”으로 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단어와도 일맥상통한다.
순(盾: 방패)을 팔고 다니는 장사꾼이 있었다. “이 창은 너무나 날카로워 뚫지 못하는 방패가 없다”고 선전했고, 방패를 팔 때는 “이 방패는 너무나 견고하여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한다”고 선전했다. “그렇다면 당신의 창으로 당신의 방패를 찌르면 어찌 됩니까?” 하고 묻자 그 장사꾼은 아무 말도 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뚫을 수 없는 방패를 동시에 선전하고 다니는 장사꾼은 누가 봐도 숙맥 같은 바보임이 틀림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이 땅에는 그런 모순투성이 쑥맥 같은 바보들이 넘쳐나고 있다. 일이라고 발뺌하는 자들, 가족이 한 일이라서 나는 잘 모른다고 발뺌하는 자들, 슬쩍 한 다리 걸친 것 말고는 아무 공로도 없는 자들이 수십, 수백억 원이라는 천문학적 거금을 받았다면 누가 봐도 호가호위(狐假虎威: 여우가 따라오는 호랑이를 믿고 으스 댄다)라는 사실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데도 자기는 모르는 일이라고 발뺌하는 자들, 온갖 패륜적 쌍욕을 다한 자를 놓고 오죽하면 그런 쌍욕을 했겠느냐고 반문 하면서 상대방의 잘못만을 부각 시키는 아첨꾼들 등등, 오늘도 신문방송에서는 그런 모순투성이 쑥맥 같은 바보들에 대한 기사가 넘치고 있다. 아니면 출세하지 못하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심히 염려된다. 그런 나라가 되기를 두 손 모아 빌고 있는 사람들이 과연 몇이나 될까? 아니 단 한 명이라도 있기나 할까? 말은 힘없는 백성들은 결국 힘 있는 자들이 시키는 대로 따라 하기 마련이라는 똥배짱이 숨어있기 때문이 아닐까? “민심이 천심”이라고 외치면서도 실제로는 힘없는 백성들을 그들이 가지고 노는 한낱 노리개로 생각하고 있는 모양이다. 말도 되지 않는 검수완박 위 영문주소 클릭 아래 오디오 꺼주세요! 받은 카톡 칼럼 편집입니다! 2022.4.21.아띠할멈.(). http://blog.daum.net/jamyung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