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리(歸乎曲)![](https://t1.daumcdn.net/cafeattach/1VYJm/c1b38b98626d10495d0a59bde6600655be7a17f8)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난 바리고 가시리잇고
나난 위 증즐가 大平盛代
날러는 엇디 살라 하고 바리고 가시리잇고
나난 위 증즐가 大平盛代
잡사와 두어리마나난 선하면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大平盛代
셜온님 보내압노니 나난 가시난 닷 도셔 오쇼셔
나난 위 증즐가 大平盛代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날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나더라 어찌 살라고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붙잡아 두고 싶지만 서운하면 오지 않을까 두려워
위 증즐가 대평성대
서러운 님 보내옵나니 가자마자 다시 오소서
위 증즐가 대평성대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가요 그림 : 김명숙 화백 편집 : 송 운 (松韻)
가시리 (歸乎曲)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려가요로 일명 ‘귀호곡(歸乎曲)’이라고도 한다.
『악장가사(樂章歌詞)』에 가사 전문이,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1장에 대한 가사와 악보가 실려 있다.
또한 이형상(李衡祥)의 『악학편고(樂學便考)』에
‘嘉時理(가시리)’라는 제목으로 가사가 실려 있기도 하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안타까워하며 부른 노래로
애절한 심정을 곡진하게 표현하였다.
가사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성(大平盛代)/ 날러는 엇디 살라고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성(大平盛代)/
잡와 두어리마 선면 아니올셰라
위 증즐가 대평성(大平盛代)/ 셜온님 보내노니 나
가시 도셔 오쇼셔 나 위 증즐가 대평성(大平盛代)
형식은 모두 4연으로 된 연장체(聯章體)로서,
매 연은 2행으로, 각 행은 3음보격의 율격을 이루고 있다.
각 연이 끝날 때마다 ‘위 증즐가 대평성(大平盛代)’라는 후렴구가 따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각 행의 제3음보가 기준음절수보다 적은 음보(音步)일 경우
의미론적 긴밀성과는 상관없이 ‘나’이라는 투식어(套式語)가 맨 끝에 덧붙어 있다.
이러한 투식어와 후렴구를 모두 제외하고 가사를 재편해보면,
4행을 1연으로 하는 2연의 민요체 가요가 되는데,
이것이 이 노래의 원가(原歌)였음을 알 수 있다.
즉, 4행체를 기조로 하는 민요였던 것이
고려의 궁중음악인 속악으로 개편되면서
투식어와 후렴구가 첨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작품의 원가가 가지는 의미의 지향과
후렴구의 의미가 호응을 이루지 않고 있다.
이를 통해 민요로서의 원가는 서정적 자아가
사랑하는 임을 떠나 보내는 이별의 슬픔을
비극적 정조(情調)로 노래하고 있지만, 이 것이 궁중음악인
속악으로 수용되면서 그러한 비극적 분위기와는 관계없이
태평성대를 노래하는 후렴구를 덧붙여
왕실의 궁정 음악으로 향유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용향악보』에서는 ‘귀호곡’이라는 제목과 함께
‘속칭 가시리’라 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로써 보면 이 노래가 3단계의 전승과정을 겪어 문헌에 정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한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① 사랑하는 임을 떠나보내야 하는 슬픔,
② 버림 받을 경우 외롭고 쓸쓸한 삶을
두려워하는 심정을 노래한다. 이어서
③ 임의 마음이 상할까 두려워 떠나는 임을 잡지 못하는 여심(女心)을 드러낸 후,
④ 홀연히 떠난 임이 곧 돌아 오시기 만을
애처롭게 호소하는 것으로 시상(詩想)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노래를 궁중의 속악가사로 이해하면
작품의 주제는 임금의 총애를 잃지 않으려는
신하의 애틋한 충정을 표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여기서 서정 자아는 여염의 여인에서
궁중의 신하로 바뀌고, ‘님’의 상징적 의미도
여염의 남정네에서 임금으로 바뀌게 된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편집 : '송운 사랑방'
가시리 - 이명우 (77년 제1회 대학 가요제 은상)
음음 ~~~ 음음 ~~~ 가시리 가시리야
음음 ~~~ 음음 ~~~ 가시리 가시리 잇고
바리고 가시리 잇고 날러는 엇디 살라 하고
바리고 가시리 잇고
얄리 얄리 얄라셩 얄리 얄리 얄라셩
얄리 얄리 얄리 얄라리 얄리 얄리 얄라셩
잡사와 두오리마난 션하면 아니올셰라
셜온님 보내 옵나니 가시난닷 도셔 오쇼서
얄리 얄리 얄라셩 얄리 얄리 얄라셩
얄리 얄리 얄리 얄라리 얄리 얄리 얄라셩
*청산별곡이야 아 ~~ 아 ~~~ 아 ~~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리 얄리 얄라셩
얄리 얄리 얄리 얄라리 얄리 얄리 얄리 얄라셩
얄리 얄리 얄라셩 얄리 얄리 얄라셩
얄리 얄리 얄리 얄라리 얄리 얄리 얄리 얄라셩.
이명우 - 가시리 의 원곡 입니다
|